국내소설 썸네일형 리스트형 채식주의자 - 거부감은 사라졌다 하지만. 이 책의 어떤 점이 맨부커상의 수상을 이끌어 내었을까? 솔직히 나는 맨부커상을 받지 않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지 않았을 것 같다. 책을 읽기 전 주변 사람들을 통해서 형부와 처제의 관계가 이야기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라고 들은 뒤 이 책에 관심을 크게 두지 않았다. 나 역시 도덕적으로 깨끗하고 성인군자는 아니지만 형부와 처제의 이야기는 TV의 '사랑과 전쟁'과 같은 드라마에서 간혹 나오는 스토리지만 맨부커상을 받은 소설에서? 하지만 국내 작가의 글을 읽고 싶다는 바램과 단순한 그 행위와 사건에만 포커싱 되어 그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스토리는 아닐 거라는 생각과 이 소설의 어떤 부분이 수상을 이끌어 냈는지가 궁금하여 읽기 시작했다. (국내 작가가 쓴 밝은 소설을 읽어 보고 싶습니다. 누가 좀 추천.. 더보기 김약국의 딸들 - 답답한 그 시대의 삶의 이야기 박경리 작가님의 주요 테마는 여인의 비극적 운명을 다루는데 '김약국의 딸들' 역시 김약국집의 다섯 딸들의 기구한 삶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더불어 그들의 어머니인 한실댁의 더 기구한 삶과 함께) 남아선호 사상이 팽배한 시대에 딸만 다섯인 김약국 집안이 가세가 기울면서 그 딸들의 삶도 같이 기울어진다. 책의 말미에 둘째 딸이 지인에게 자신의 가족사를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 있다. "저의 아버지는 고아로 자라셨어요. 할머니는 자살을 하고 할아버지는 살인을 하고, 그리고 어디서 돌아갔는지 아무도 몰라요. 아버지는 딸을 다섯 두셨어요. 큰딸은 과부, 그리고 영아 살해 혐의로 경찰서까지 다녀왔어요. 저는 노처녀구요. 다음 동생이 발광했어요. 집에서 키운 머슴을 사랑했죠. 그것은 허용되지 못했습니다. 저 자신부터가 .. 더보기 이전 1 다음